☁️2024,2025☁️/Computer Science
[ Server & OS ] Window 기본 명령어
리촬리
2024. 11. 28. 13:57
728x90
윈도우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자.
현업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장애 대응이나 오류 발생시 어떤 명령어들을 치는지를 파악해본다.
[ 네트워크 명령어 ]
- ipconfig /all: 아이피, mac 주소 확인
- netstat -an :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
- 실질적으로 해당 서버에 네트워크를 접속한 정보를 볼 수가 있다.
- 접속 / 접속 시도 / 접속 종료 / 등
- 방화벽 로그를 보거나 하면 되지만, 트래픽이 방화벽을 제대로 타지 않을 때 로컬로 직접명령어를 입력한다고 한다.
-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, 리스닝 상태인지, 통신이 되면 상태값이 바뀌기 때문에 보고 알아두면 좋다.
- -an 은 옵션이다.
[ 옵션 목록 ]
-a : 현재 다른 PC와 연결(Established)되어 있거나 대기(Listening) 중인 상태
-l (listen) : 연결 가능한 상태
-t (tcp) : tcp
-u (udp) : udp
-p : 프로그램 이름 / PID
-n (number port) : 포트 넘버
- ping :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
- icmp 프로토콜 안에 ping 이라는 코드가 있다고 한다.
https://programming119.tistory.com/155
- 작업 관리자 : taskmgr
- 보안 감사할 때 많이 쓴다고 한다.
- 이 단말에 가지고 있는 계정의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다.
- netuser password -> 패스워드가 언제 바뀌었는지가 나오고, 언제 로그인 되었는지도 나온다.
- netuser /domain "계정이름"
- 패스워드 변경 기록 같은게 다 보인다고 한다
- 종료, 재부팅 : shutdown
- ? : 명령어, 사용법 확인
운영체제 관리 도구
- 디스크 관리 : diskmgmt
- 컴퓨터 관리 : compmgmt
- 장치 관리자 : devmgmt
- 이벤트 뷰어 : eventvwr
- 로컬 보안정책 : secpol
- 서비스 : services
- 그룹 정책 관리 : gpedit
https://peemangit.tistory.com/103
사실 나머지는 필요할 때마다 찾아서 하면될것같아서.. 간단하게만 정리한다.
728x90